COWORKER로고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KICE-eAssessment) 개발 연구(I)(RRE 2019-4)

교육 초중고교육

  • 저자

    김인숙

  • 발행기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발행연도

    2019 년

  • 작성언어

    Korean

  • 자료형태

    일반연구보고서

  • 조회수 276
  • 공유 6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육과정 기반 핵심역량 평가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교실혁명을 통한 공교육 혁신 및 미래 교육 환경 조성 정책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개년 중기 계획을 수립하여 교실 수준에서 활용 가능한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를 설계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평가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과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3개년 연구 중 1차 연도에 해당하는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 연구 및 평가 시스템 사례 분석과 수요자 요구 수렴 등을 통해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 방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핵심역량, 교과 역량, 성취기준 연계성 탐색 등을 바탕으로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를 설계하였다. 셋째, 핵심역량, 교과 역량, 성취기준, 평가 요소 선정과 관련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여 교과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평가도구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을 통해 현장 적합성을 파악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하였다.
 

□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방향 탐색
핵심역량 평가 관련 선행 연구와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사례를 분석하고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수요자 요구를 수렴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평가는 학생 참여적인 평가여야 하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를 지향함에 따라서 수행평가 형태가 적절하고, 실생활 맥락을 기반으로 하는 문제 상황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기존의 지필 기반 평가에서 사용되던 방식이 아니라 새로운 컴퓨터 환경에 적합한 문항으로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실제 현실과 유사한 환경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야 한다. 끝으로, 학생들의 수행 과정 및 결과가 자동적으로 저장되고 입력되어서 학생의 수행에 대한 기록이 용이해야 하고, 학생의 로그 기록, 입력된 문자, 녹음된 음성 등의 메타 데이터를 손쉽게 분석하여 정량적으로 교사에게 제시되고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즉각적이면서도 자동적인 피드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 설계
핵심역량, 교과 역량, 성취기준 연계성을 탐색하고, 핵심역량 평가 문항 유형 및 기술공학적 도구를 탐색하였으며, 채점 및 피드백 방안을 탐색하여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를 설계하였다. 첫째, 교과 역량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 및 의미를 도출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별 교수·학습 및 평가 유의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성취기준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항 유형과 텍스트 편집 및 시뮬레이션 등 관련 기술공학적 도구를 탐색하였다. 셋째, 채점은 컴퓨터 기반 평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가급적 자동 채점이 가능하도록 하고, 정성적 평가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교사의 수동 채점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고, 피드백은 피드백의 제공 시기, 형태 및 내용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프로토타입 개발
핵심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핵심역량, 교과 역량, 성취기준, 평가 요소 선정과 관련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였다. 평가도구의 설계, 개발, 시범 적용의 전 과정에서 교사, 교육평가, 교과교육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교과별 워킹그룹을 운영하였다.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5개 교과별로 2∼3차시 분량의 수행평가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차시별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평가 문항에 대한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고, 교과 역량과 그 하위 요소에 대한 수준별 평가 기준 및 진술문을 각각 개발하였다. 교과 역량은 A, B, C, D, E의 5단계 수준으로, 하위 요소는 상, 중, 하의 3단계 수준으로 구분하여 평가 기준 및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설계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인 ‘핵심역량평가시스템’의 구체적 개요를 소개하고 프로토타입을 실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으며,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을 수행하여 시스템 프로토타입 사용상의 장단점 등을 조사·분석하고 2차 연도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 제언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제언과 각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제언1 핵심역량평가시스템 연구·개발 추진 계획 수립 

      1-1. 교과 통합형 평가도구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기 연구·개발 계획 수립
      1-2. 교과 통합형 평가도구 개발·평가시행·채점 및 피드백을 위한 연구 내용 탐색 

 

제언2 과정 중심 피드백 강화를 위한 정보 수집 다양화 방안 마련 

     2-1. 학생의 과제 수행 과정 정보 탐색
     2-2. 핵심역량 관련 정의적 특성 정보 탐색 

 

제언3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및 평가 시스템 기능 개선 

    3-1.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과정 및 절차 개선
    3-2. 핵심역량 평가 시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기능 개선
    3-3. 교과 특성을 고려한 핵심역량평가시스템 기능 개선 

 

제언4 핵심역량평가시스템 활용을 위한 협력 체제 구축 

    4-1.핵심역량평가시스템 시범 적용 확대를 위한 연구학교 운영
    4-2.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협력 체제 구축
    4-3.핵심역량평가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지원 체제 구축 

 

제언5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관련 법·제도 개선 

   5-1.교육용 콘텐츠 관련 저작권법 개선
   5-2.저작권법 및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관련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


<이하 원문 확인>